“These are the ordinances [mishpatim הַמִּשְׁפָּטִים] that you are to set before them.” (Exodus 21:1)
"네가 백성 앞에 세울 법규는 이러하니라" 출애굽기 21:1
In last week’s Torah portion, Israel received the Ten Commandments at Mount Sinai.
This week, God gives specific legislation—laws called mishpatim, which means judgments.
These are intended to guide the daily lives of His holy nation in justice and righteousness.
지난 주 토라에서 이스라엘은 시내산에서 십계명을 받았습니다.
이번 주에는 하나님께서 미쉬파팀이라는 구체적인 율법을 주셨는데, 미쉬파팀이란 판결을 의미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거룩한 나라의 일상을 공의와 정의로 인도하기 위한 것입니다.
In the ancient words of Exodus, amid the divine pronouncement of ordinances, lies a profound invitation echoing through the corridors of time. "These are the mishpatim," resonates the call to establish laws, not merely as commandments but as collaborative acts between the God and mortal. Rooted in the essence of 'setting up straight,' mishpatim beckons us to intertwine the sacred and the earthly, forging a tapestry where life and law harmonize.
출애굽기의 말씀 속에는 신성한 율법의 선포와 함께 시대의 흐름을 통해 울려 퍼지는 초대가 있습니다. "법규는 이러하니라." 라는 구절은 단순히 계명이 아니라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협력 행위로서 법을 세우라는 요청입니다. '바로 세운다'는 본질에 뿌리를 둔 미쉬파팀은 신성한 것과 세속적인 것을 엮어 삶과 법이 조화를 이루는 태피스트리를 구축하도록 우리를 손짓합니다.
The core of mishpatim extends beyond obedience to statutes; it is a covenant to participate in the creation of justice, to breathe life into the very words that govern our existence. God, the ultimate Judge, extends an invitation for us to be co-creators, witnesses, and defenders of these divine principles. Our lives, the living testament to these laws, are not merely dictated but crafted in partnership with the divine.
미쉬파팀의 핵심은 율법에 대한 순종을 넘어 공의의 창조에 참여하고, 우리 존재를 지배하는 바로 그 말씀에 생명을 불어넣는 언약입니다. 궁극적인 재판관이신 하나님은 우리가 이러한 신성한 원칙의 공동 창조자, 증인, 수호자가 되라는 초대를 하십니다. 이러한 법의 살아있는 증거인 우리의 삶은 단순히 지시된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Mishpatim, or law, unfolds in dual layers of purpose. The first, a tender care for the vulnerable, echoes the divine will to shield the weak from neglect. The second intertwines justice with communal building, demanding self-sacrifice. When the laws of heaven resonate with our actions – when we aid the weak and establish justice – blessings cascade from above. Thus, the blessed are those who, through justice, manifest the very existence of God in their lives.
미쉬파팀, 즉 법은 두 가지 목적으로 전개됩니다. 첫 번째는 약자에 대한 보살핌으로, 약자를 보호하려는 하나님의 의지를 반영합니다. 두 번째는 정의와 공동체 건설을 결합하여 자기 희생을 요구합니다. 하늘의 법칙이 우리의 행동에 공명할 때, 즉 우리가 약자를 돕고 정의를 세울 때, 위로부터 축복이 쏟아집니다. 따라서 공의를 통해 하나님의 존재를 삶에서 드러내는 사람은 복이 있습니다.
As we stand at the intersection of ancient wisdom and contemporary living, the relevance of mishpatim resonates profoundly. Applying its essence to our lives becomes a pursuit of establishing the resurrection life of Jesus Christ within us. Each passing day, a canvas to paint with the hues of Yeshua's existence, a testament to God's will restored to its primordial place.
고대의 지혜와 현재의 삶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미쉬파팀의 의미는 깊은 울림을 줍니다. 그 본질을 우리 삶에 적용하는 것은 우리 안에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생명을 확립하는 일이 됩니다. 날마다 예슈아의 색채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캔버스는 하나님의 뜻이 원래의 자리로 회복되었다는 증거입니다.
In the ancient echoes of Exodus, amidst laws, lies a profound edict that transcends the wilderness of its proclamation. "If you buy a Hebrew servant, he is to serve you for six years. But in the seventh year, he shall go free, without paying anything." It is not merely a legal prescription but a divine foresight, a prophecy in the guise of law, laying the groundwork for liberation and heralding a profound mission.
출애굽의 메아리, 율법 속에는 광야를 초월하는 심오한 칙령이 있습니다. "히브리인 종을 사면 6년 동안 당신을 섬겨야 합니다. 그러나 일곱째 해에는 아무 대가 없이 그를 자유롭게 보내라." 이는 단순한 법적 처방이 아니라 선견지명이자 법을 가장한 예언으로, 자유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심오한 사명을 예고합니다.
The first decree unfurls the banner of freedom, a prelude to the emancipation of slaves and the eventual proclamation of the Jubilee. Though spoken in the wilderness, it foretells a time when these words would be needed, a testament to God's omniscient vision.
첫 번째 법령은 자유의 깃발을 펼치며 노예 해방과 궁극적인 희년 선포의 서막을 알립니다. 비록 광야에서 선포되었지만, 이 말씀은 하나님의 전지전능한 비전에 대한 증거인 이 말씀이 필요할 때를 예언합니다.
As Isaiah, the prophet, declares the divine mission: "to proclaim freedom for the captives and release from darkness for the prisoners," the law becomes a timeless directive. It intertwines the narrative of the Exodus with the unfolding story of humanity, where the purpose of liberation is to set hearts free and bind up the broken.
선지자 이사야는 신성한 사명을 선언합니다: "포로된 자에게 자유를, 갇힌 자에게 어둠에서 놓임을 선포하는 것"이라고 선언하면서 율법은 시대를 초월한 명령이 됩니다. 출애굽의 목적은 마음을 풀어주고 상한 마음을 싸매는 사람들의 이야기와 얽혀 있습니다.
Yet, in the subtleties of the law lies a revelation—an invitation to the greatest freedom. The paradox of a servant, choosing to remain in servitude out of love, unravels the secret corridors of a higher liberty. The master, guided by the law, brings the servant to the door or doorpost, where a symbolic act unfolds – the ear pierced with an awl. It is a circumcision of the ear, an attitude of profound submission, a willingness to heed any call. Here, the law transforms into an invitation, not to captivity, but to a profound and liberating servitude to God, a journey toward becoming a servant of Yeshua.
그러나 율법의 미묘함 속에는 가장 위대한 자유로 초대하는 계시가 숨어 있습니다. 사랑 때문에 종살이를 선택한 종의 역설은 더 높은 자유의 비밀 통로를 열어줍니다. 주인은 율법에 따라 종을 문이나 문설주 앞으로 데려가 송곳으로 귀를 뚫는 상징적인 행위를 합니다. 그것은 귀의 할례, 깊은 복종의 태도, 어떤 부름에도 기꺼이 귀를 기울이는 것입니다. 여기서 율법은 포로가 아니라 하나님께 대한 심오하고 자유로운 종노릇, 즉 예슈아의 종이 되기 위한 여정의 초대로 변합니다.
The law, it seems, is a delicate dance between freedom and submission. It extends its reach further as it speaks of a master selecting a servant for his son. In this act, the servant is granted the rights of a daughter. A rare declaration in the worldly statutes, it echoes the prophecy of God giving Yeshua to us and the church becoming the bride of Christ. This law, woven into the fabric of the divine order, urges us to consider those in servitude as kin, akin to the familial bonds forged in the kingdom of God.
법은 자유와 복종 사이의 미묘한 춤인 것 같습니다. 주인이 아들을 위해 종을 선택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그 범위가 더 확장됩니다. 이 법에서 종은 딸의 권리를 부여받습니다. 세상 법에서는 보기 드문 이 선언은 하나님께서 예슈아를 우리에게 주시고 교회가 그리스도의 신부가 될 것이라는 예언을 반영합니다. 신성한 질서의 구조로 짜여진 이 법은 우리가 하나님 나라에서 맺어진 가족적 유대와 마찬가지로 종살이하는 사람들을 가족으로 간주하도록 합니다.
Let us embark on a reflective journey into the intricacies of these laws, recognizing them not as mere decrees but as profound revelations, weaving together the tapestry of divine foresight and human liberation. May we delicately unfold the layers of these prophecies, understanding that within the intricacies of the law lies an invitation to a freedom that transcends the bounds of this world—a freedom bound in love, submission, and a covenant with God.
이 율법을 단순한 법령이 아니라 심오한 계시로 인식하고, 거룩한 선견지명과 인간의 자유를 함께 엮어내는 성찰의 여정을 시작합시다. 율법의 복잡함 속에 이 세상의 한계를 초월하는 자유, 즉 사랑과 복종, 하나님과의 언약으로 묶인 자유에 대한 초대가 숨겨져 있음을 이해하면서 미쉬파팀을 섬세하게 펼쳐보기를 바랍니다.
This article was written based on Pastor Daewi Kang's Mail Torah(매일토라) and the inspiration gained from it.